본문 바로가기
주식_해외

리커전 파마슈티컬스 (rxrx), 급등 이유 추정

by 잍푸 2024. 12. 9.
728x90
반응형

제가 ETF외에 개별주식도 하고있고,

미국주식 &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 오랜기간 보유 할 수 있을만(?)한것을 기준으로 이것저것 모아가고 있습니다.

그중에 리커전 파마슈티컬스 (티커 : rxrx)가 있는데,

AI 가 발전할 수록 돈을 벌 수 있을 분야라고 생각해서 주가가 우하향해도 그려러니 하고 적립식 매수 중이었습니다

(예전엔 신약 개발, 신 물질 개발에 사람이 여러 구조를 조합해보고 테스트해보고 결과보는 식이었는데 AI로 돌리면 지수 함수마냥 발전속도가 빨라질 수 있고 엔비디아가 투자도 했었고 해서)

그런데 주가가 +21% 로 되어있어서 프리장에서 다시 원복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아직 프리장에서도 +10.61%로 버티고 있습니다.

그래서 급등(?)의 사유가 궁금하여 조금 찾아본 사항을 포스팅하고

나중에 주가가 올라갔을때 이 Page가 전환점으로 기록이 될지 아니면 주가가 다시 바닥을 기어다니게 됐을때

낚시 패턴중 하나라고 다시 상기시킬 수 있을지 보면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어느나라든 바이오가 이런건 맞는데..아직 올라갈 건이 없을텐데?

 


아마도 12월9일 미국암연구협회 컨퍼런스에서 AI를 사용한 치료제에 대한 설명예정인 사항이 기대감을 상승시킨게
주가 급등의 이유인것 같습니다

 

리커전의 IR.

 

아래 이미지및 IR site link와 같이 REC-617 (CDK7 억제제)에 대한 1상 PK/PD Data* 예측치를 설명 할 예정으로 보입니다.

리커전 파마슈티컬스가 엑사이엔티아(Exscientia) 라는 영국 회사를 인수했는데, 이 회사의 파이프라인중 하나가 REC-617 이었던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생각해 보면 인수하고 자기네 들이 한것 처럼 하는거 아닌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바로 이 REC-617 (고형암**)에 대한 1상 PK/PD Data에 대해 설명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PK/PD data 는 간략하게 아래로 설명

-약동학 (Pharmacokinetics, PK)

약동학은 "약물이 체내에서 어떻게 되는가"를 연구하는 분야. 흡수-분포-대사-배설과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약물이 체내에서 어떻게 인체로 인해 어떤식으로 변화되는지를 보는것

-약력학 (Pharmacodynamics, PD)

약력학은 "약물이 체내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가"를 연구하는 분야. 약물에 의해 인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는것

-PK는 약물의 체내 농도를 결정하고, 이 농도가 PD 효과의 강도와 지속 시간에 영향을 미칩니다.

**고형암은 굳은?딱딱한? 덩어리로 형성되는 암으로 위암 유방암 등등 대부분의 암이 여기에 속함

 

근데 여기에 아래 이미지및 link와 같이 "AI를 사용해서"가 추가되었습니다.

 
 

즉,

'AI'를 이용해서 유래없는 개발 속도를 보여줘야 하는 리커전 파마슈티컬스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컨퍼런스 콜이 예정

되어있기 때문에 주가가 반응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아래는 GPT, Perflextity, sonar 가 도와준 최종 요약본과 치료제 확장성에 대한 내용이니 참조만 해주시면 될것 같습니다 ㅎㅎ

(리커전도 AI 사용해서 개발하니, 제 공부도 AI 를 사용해봐야 하지 않겠습니까)

REC-617 (CDK7 억제제; 진행성 고형암)에 대해:

1상 임상시험 진행 중: 이 문구는 REC-617이 이미 1상 임상시험 단계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 초기 데이터 발표 예정:일시: 2024년 12월 9일
  • 장소: AACR(미국암연구협회) 특별 컨퍼런스
  • 약동학(PK) 및 약력학(PD) 데이터
  • 후속 웨비나: 2024년 12월 10일에 추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웨비나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 정보는 REC-617의 임상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회사가 초기 임상 결과를 공개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투자자와 의학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으며, 약물의 안전성과 초기 효과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가로, REC-617은 원래 GTAEXS617이라는 이름으로 엑사이엔티아(Exscientia)에서 개발되었던 약물입니다. 이는 리커젼과 엑사이엔티아의 합병 이후 파이프라인에 통합된 것으로 보입니다

적용 가능한 암 종류

REC-617은 주로 진행성 고형암을 대상으로 하지만, CDK7 억제제는 다양한 암 종에서 효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 유방암: 특히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 유방암
  • 폐암
  • 간세포암
  • 갑상선암
  • 교모세포종
  • 위암
  • 췌장암
  • 담낭암
  • 대장암
  • 골육종
  • 림프종
  • 백혈병

REC-617은 현재 1상 임상시험 단계에 있으며, 2024년 12월 9일 AACR 특별 컨퍼런스에서 초기 단독요법 안전성 및 약동학/약력학 데이터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