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글에서 미국의 에너지 관련 산업에 대해 글을 써봤고
원유 (XLE) , 유틸리티 (XLU), 전력 인프라 쪽에 대해 언급을 했었습니다.
https://dudepooh.tistory.com/144
뭘 사고있었어야 했을까에 대한 고민중.(feat.미장, 국장)
제목이 약간 이상하죠.사고"있었"어야 라는 과거형을 사용해서, 후회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는 중입니다. 언제나 그랬듯 항상 뭔가를 매수하기엔 늦은것 같고 들어가면 왠지 고점매수인것 같
dudepooh.tistory.com
그 중에서 우선 XLE에 대해 어떤 종목으로 구성되어있는지 그리고, 한국에 동일한 종목으로 구성된 ETF 상품이 있는지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ISA, 연금 타겟을 해보고자 이런 섹터관련 ETF는 한국상장 ETF에 조금더 비중을 높이도록 할 예정입니다.
미국상장으로는 XLE가 원유&가스 ETF의 대명사이며
한국상장으로는 KOSEF 미국원유에너지기업, KODEX 미국S&P500에너지(합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천연가스 관련으로 최근 KoAct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가 상장되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오른쪽 부터 순서대로 미국상장 Ticker XLE 와 한국에 상장된 XLE라 볼수 있는
KOSEF 미국원유에너지기업, KODEX 미국S&P500에너지(합성), 그리고 천연가스 관련으로 최근 상장된 KoAct 미국천연가스인프라 액티브 입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아래 사항을 봐야 합니다.
- 배당률 : XLE 3.34%, KOSEF 미국원유에너지기업 1.69%이고 나머지는 배당금이 없습니다. KOSEF는 이번년도 1월16일 상장이라 아마 내년까지는 지켜봐야 XLE와 유사하게 배당률이 나오는지 정확히 판단이 가능할 것 같으나 현재로서는 거의 동일한 자산으로 구성되어도 배당률은 낮을 것 같습니다. 또한 KoAcT 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는 상장한지 몇일 안되서 (24년12월10일 상장), 아직 배당률 구성은 확인할 수 없습니다.
- 실비용 : XLE 0.09%, KOSEF미국원유에너지기업 0.8644%, KODEX미국S&P에너지(합성) 0.3467% 입니다. KoAcT 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는 총보수 0.5%로 광고중이지만 저희는 실제 사업비 등등등 까지 포함된 실비용이 중요하기때문에 아직 수수료 측면에서는 수치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론,
(합성)인 'KODEX미국S&P에너지(합성)' 보다 'KOSEF미국원유에너지기업'의 실비용이 비싸다는게 이해가 안갑니다.
사업측면으로는 저렇게 측정한 이유가 있겠지만 이 상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위와 같이 따진다면 전혀 합리적이지는 않습니다.

두번째로는 각 ETF가 보유 중인 종목을 봐야합니다.
아래 이미지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을 드리고,
그 밑에 아주 상세하게 어떤기업들인지 정리를 했으니 확인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선 아래 XLE ↔ KOSEF미국원유에너지기업 ↔KODEX미국S&P에너지(합성) 이 세개의 ETF는 계속 말씀드렸듯이
거의 같은 종목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빨간색 점선 및 실선과 같이 구성 종목은 사실상 동일하고 보유 비중 차이도 많아봤자 2%정도입니다.
특히 KODEX 미국S&P500에너지(합성)의 경우 아얘 XLE를 9.57% 보유 중입니다. 하지만 합성이라 그 이후의 관리에 대해서는 알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파란색 Box는 XLE 계열 ETF들에는 없고 KoAct 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에만 있는 기업들입니다.
특히 ENB와 TRP의 비중이 각 19.12%, 14.37%로 높은 편입니다.

세번째로는 위에 처럼 구성된 종목들이 정말 에너지관련 산업을 하는 기업들인지 확인하고
사업분야나 사업활동을 하는 지역이 어디인지 살펴봐야 할 겁니다.
만약 보유 비중이 높은 기업이 운송만하는 Downstream 기업이라면, 원유..관련사업의 ETF는 맞는데
더 독점적이고 수익성을 바라는 기업이 아니기 때문에 ETF 를 매수함에 있어 애매해지기 때문이죠
해서, 아래와 같이 위에 있는 모든 기업들을 정리해봤습니다.
표는 XLE 및 한국 상장 XLE인 KOSEF미국원유에너지기업, KODEX미국S&P에너지(합성) 의 구성종목
그 아래 정리된 기업은 위 이미지 상에서 파란색 Box로 표기된 KoAct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에만 있는 종목입니다.
찬찬히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XLE 구성종목
(XLE, KOSEF미국원유에너지기업, KODEX미국S&P에너지(합성) )
Company Name
|
Business Overview
|
Business Portfolio
|
Business Regions
|
Exxon Mobil
|
Exxon Mobil 사업 영역
1.원유와 천연가스의 탐사 및 생산 2.다음 제품들의 제조, 운송, 판매: -원유 -천연가스 -석유 제품 -석유화학 제품 -다양한 특수 제품 3.저탄소 비즈니스 기회 추구 전통적인 석유 및 가스 사업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인 저탄소 사업 기회도 적극적으로 모색 중 |
Exxon Mobil의 사업 포트폴리오
1.Upstream -석유와 천연가스의 탐사 및 생산 활동을 포함 2.Downstream -정제 및 마케팅 활동 -원유를 정제하여 가솔린, 디젤 등의 제품으로 만들어 판매 3.화학 부문 (Chemical) -석유화학 제품의 생산 및 판매 Exxon Mobil의 주요 사업 전략: 1.저탄소 기술 투자 확대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저탄소 기술에 대한 투자를 증가 2.주요 지역 사업 확장 -가이아나(Guyana): 남미 북동부에 위치한 국가로, 최근 대규모 석유 매장량이 발견 됨 -퍼미안 분지(Permian Basin): 미국 텍사스와 뉴멕시코 주에 걸쳐 있는 대규모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 지역 |
North America, Latin America, Europe, Asia Pacific, Africa
|
Chevron Corporation
|
Chevron Corporation 사업 영역
1.정제 (Refining) -원유를 다양한 석유 제품으로 가공하는 과정 2.유통 (Distribution) -정제된 석유 제품을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과정 3.탐사 (Exploration) -새로운 석유와 천연가스 매장지를 찾는 활동 4.생산 (Production) -발견된 석유와 천연가스를 채굴하고 생산하는 과정 석유 및 천연가스 산업의 전체 가치 사슬을 포괄함 Chevron은 탐사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제품을 공급하는 단계까지 수직 계열화된 사업 모델을 운영하고 있어, 에너지 산업에서 종합적인 역량을 갖춘 기업임. |
Chevron의 사업 포트폴리오:
1.정제 및 유통 (Refining and Distribution) -전체 순매출의 73.1%를 차지 -주요 활동: -원유를 가솔린, 디젤 등의 석유 제품으로 정제 -정제된 제품을 주유소, 산업체 등 최종 소비자에게 유통 2.탐사 및 생산 (Exploration and Production) -전체 순매출의 26.8%를 차지 -주요 활동: -새로운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지 탐사 - 발견된 자원의 채굴 및 생산 3.기타 활동 -전기 생산 등 포함 -순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음 (약 0.1%) |
North America, South America, Europe, Asia, Middle East, Africa.
|
ConocoPhillips
|
ConocoPhillips는 텍사스주 휴스턴에 본사를 둔 독립적인 탐사 및 생산 회사로, 석유 및 가스 산업 사업 중
1.탐사 및 생산: 원유, 천연가스, 천연가스 액체(NGL)의 탐사와 생산. 2.운송 및 마케팅: 생산된 자원의 운송 및 판매. |
주요 운영 지역:
-알래스카 -캐나다 -유럽 -중동 또한,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저비용 공급과 저탄소 배출 강도를 특징으로 하는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 중임. |
Alaska, Canada, Europe, Middle East, Asia Pacific, Other International.
|
The Williams Companies, Inc.
|
천연가스 처리 및 운송에 중점을 둔 에너지 인프라 기업임.
주요 사업 영역과 운영 지역 : 1. 주요 사업 영역 - 천연가스 처리 - 천연가스 운송 2. 주요 운영 지역 - 멕시코만 (Gulf of Mexico) - 미국 동부 해안 (Eastern Seaboard) 3.기타 미국 내 여러 주 |
Williams는 미드스트림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요 서비스는 아래와 같음 : 1.집하 (Gathering): 생산 현장에서 천연가스를 모으는 작업 2처리 (Processing): 수집된 천연가스를 정제하고 처리하는 과정 3.운송 (Transportation): 처리된 천연가스를 최종 소비자나 저장 시설로 운송하는 서비스 특히 회사는 심해 멕시코만, 미국 동부 해안, 그리고 기타 미국 내 여러 주에서 자산을 운영하고 있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천연가스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 중 |
Gulf Coast, Rocky Mountains, Eastern Seaboard
|
ONEOK, Inc.
|
천연가스 및 천연가스 액체(NGL)와 관련된 미드스트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임.
주요 사업 영역 : 1.집하 (Gathering) 2.처리 (Processing) 3.분류 (Fractionating) 4.운송 (Transporting) 5.저장 (Storing) 6.마케팅 (Marketing) |
1.2024년 5월 인수 계획:
-Gulf Coast NGL Pipelines를 Easton Energy로부터 2억 8천만 달러에 인수 합의 -인수 대상: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걸프 해안에 위치한 450마일 길이의 파이프라인 2.2024년 11월 매각 계획: -3개 파이프라인을 DT Midstream에 12억 달러에 매각 합의 -매각 대상 파이프라인: -Guardian Pipeline -Midwestern Gas Transmission -Viking Gas Transmission 이러한 거래를 통해 ONEOK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고 있으며, 특히 걸프 해안 지역의 인프라를 강화하는 동시에 일부 자산을 매각하여 자본을 확보하고 있는 중. |
North Dakota, Montana, Wyoming, Kansas, Oklahoma, Texas, New Mexico
|
EOG Resources, Inc.
|
독립적인 upstream 석유 및 가스 기업으로, 주로 미국과 트리니다드에서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함:
1.탐사 (Exploration): 새로운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지 탐색 2.개발 (Development): 발견된 자원의 생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3.생산 (Production): 석유 및 천연가스 채굴 4.마케팅 (Marketing): 생산된 원유와 천연가스의 판매 |
1.투자 규모: 약 42억 달러
2.투자 목적: 시추 및 탐사 작업 3.주요 투자 지역: 델라웨어 분지(Delaware basin) 자산 델라웨어 분지는 미국 텍사스 서부와 뉴멕시코 남동부에 걸쳐 있는 주요 석유 및 가스 생산 지역으로, EOG Resources가 이 지역에 집중 투자한다는 것은 해당 지역의 자원 개발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나타냄. |
United States, Trinidad
|
Schlumberger Limited
|
사업영역 :
1.시추 2.유정 완결 3.통합 프로젝트 관리 |
다음과 같은 분야에 집중 :
1.산업의 탄소 배출 감소 2.새로운 에너지 시스템 개발 |
North America, Latin America, Europe, Africa, Middle East, Asia.
|
Phillips 66
|
가솔린, 디젤, 항공연료의 수집/처리/운송/저장/판매 사업 및 석유화학 제품, 플라스틱 제조
|
Phillips 66의 사업 포트폴리오:
1.정제 2.Midstream 운영 3.화학 제품 4.재생 가능 연료 주요 사업 계획: 1.2025년 말까지 로스앤젤레스 정유소 운영 중단 예정 2.재생 에너지 이니셔티브에 투자 확대 이러한 전략은 Phillips 66이 전통적인 석유 및 가스 사업을 유지하면서도, 재생 에너지와 같은 미래 지향적인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 특히 로스앤젤레스 정유소 운영 중단 계획은 환경 규제 강화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요구 증가에 대응하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음. |
US, Europe, Asia, Middle East, Africa
|
Kinder Morgan, Inc.
|
Kinder Morgan, Inc.는 북미 최대의 에너지 인프라 기업 중 하나로, 석유 및 가스 파이프라인과 터미널의 소유 및 관리를 전문함.
Kinder Morgan의 포트폴리오: 1.천연가스 파이프라인에 대한 대규모 투자. →주요 사업 영역으로, 천연가스의 운송과 저장을 담당합니다. 2.에너지 전환 벤처 사업 → 미래 에너지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로 볼 수 있습니다. |
회사의 주요 사업 전략:
1.파이프라인 용량 확대 더 많은 양의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송하기 위함임 2.저장 능력 향상 에너지 수요 변동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전략 |
Texas, California, Gulf Coast.
|
Marathon Petroleum Corporation
|
Marathon Petroleum Corporation은 오하이오주 핀들레이에 본사를 둔 선도적인 통합 DownStream 에너지 기업.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정유 시스템 운영 -미국 최대 규모의 정유 시스템 보유 -13개의 정유소 운영 -일일 약 300만 배럴의 원유 정제 능력 보유 2.주요 사업 영역 - 석유 제품의 정제 - 석유 제품의 마케팅 - 석유 제품의 운송 3.신재생 연료 포트폴리오 확대 기존 석유 기반 사업과 함께 신재생 연료 사업을 성장시키고 있음 |
Marathon Petroleum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주로 정제 및 마케팅 운영에 중점을 두고 있음
또한 다음과 같은 전략적 방향성을 가지고 있음: - 상업적 성과 개선 - 기존 사업의 효율성과 수익성 향상에 주력 - 신재생 연료 부문 확대 - 미래 에너지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 연료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 |
Midwest, Southeast, Northeast, Gulf Coast
|
■ KoAct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에만 존재하는 종목
- ENB (Enbridge Inc.): 북미 최대 규모의 에너지 인프라 기업으로, 주로 석유 및 천연가스 운송과 배급을 담당. 또한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음.
- TRP (TC Energy Corporation): 캐나다, 미국, 멕시코에서 에너지 인프라를 개발 및 운영하는 북미의 주요 에너지 기업임.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액체 파이프라인, 발전 사업을 주력으로 함.
- AROC (Archrock, Inc.): 미국에서 천연가스 압축 서비스에 특화된 에너지 인프라 기업임. 천연가스 압축 장비의 설계, 소유, 설치, 운영, 서비스 등을 제공함.
- DTM (DT Midstream, Inc.): 미국 남부, 북동부, 중서부 및 캐나다에서 천연가스 인프라를 소유 및 운영하는 기업임. 천연가스 운송, 저장, 수집 등의 서비스를 제공 함.
위 기업들은 모두 에너지 인프라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천연가스와 관련된 사업에 주력하고 있는 회사들임
명성(?) 답게 구성종목은 다행이 , 그리고 아주 정확하게 원유와 가스에 관련된 에너지 기업들이 맞습니다.
전반적이면서도 세세한 사항들을 확인했으니 이제 "그래서 어떻게 할건데" 를 생각해 봐야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제 뇌피셜에 의해 트럼프 행정부는
에너지 가격은 낮춰야하고 동시에 전력생산을 높이면서
관련 인프라를 착착 깔아야 본인들이 원하는 국정 운영을 할수 있을거라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에너지 관련 ETF를 보유하는것도 나쁘지 않은 관점이라 보고 있습니다.
다만, 아래 기사와 같이 친환경에너지의 트렌드 정치적 상황 기업들의 동조 미래의 불확실성 등등
추후 악재로 인해 하락하더라도 모아가는 단계에서도 단연 지수추종과 같은 종목(SPY, QQQ)만큼의 비중으로
들어가선 안된다고 봅니다.
섹터 ETF 이기도 하고, 당연히 지수 추종 상품의 비중을 높게 가는게 맞으니
낮은 비중으로 크게크게 모아가되
'KoAct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를 선택하는게 괜찮아 보입니다.
이유는
1. XLE도 좋지만 트럼프가 조선업에 대해 한국에 헬프를 요청했던 사항을 고려하면 LNG 와도 맞물려 있을것,
2. 따라서 원유기업과 천연가스 기업모두가 높은 비중으로 분포되어있는 'KoAct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 가 합리적임
3. 수수료는 나와봐야 알겠지만 KOSEF가 한국상장 XLE 인것 치고는 수수료가 비쌈
4. 차라리 'KoAct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는 액티브라 수수료가 높아도 이해 할 수 있음
5. QQQ가 내려갈때 반대로 XLE는 올라가는 경향이 있어, 추후 AI 거품이 꺼진다는 소문과 악재가 발생할 경우 헷지용으로서도 빛을 발할 수 있음
*아래 기사를 보면 에너지 기업들이 마냥 좋지만은 않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 위협에…저렴한 캐나다 원유 아시아로? [원자재 이슈탐구]
트럼프 관세 위협에…저렴한 캐나다 원유 아시아로? [원자재 이슈탐구], 트럼프,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 위협 배럴당 50달러대 캐나다 원유, 아시아 수출 기대 베네수엘라 제재 완화에도 이목
www.hankyung.com
마지막으로 차트를 보면,
아래와 같이 3년 차트상으로는 XLE 계열의 ETF는 폭발적인 우상향을 했다 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QQQ와 XLE를 5년간의 차트로 보면, QQQ가 내려갈때 XLE는 내려가는게 아닌 상승을 해버리면서
자산 헷지의 역할을 했었습니다.
이후 QQQ가 안정화 되어 다시 올라가기 시작하면 , XLE는 올라가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하락하지도 않기 때문에
오히려 헷지의 수단으로도 훌륭하고 QQQ가 잘 나갈때 방해하지도 않았습니다.

저도 트럼프 행정부의 임기라는게 있지 때문에 초장기 적립식은 아니더라도 일부 비중으로
차근차근 'KoAct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를 사볼까 합니다.
'ETF_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重)희토류 포함 ETF (미국/한국 상장) - 2 - (1) | 2025.01.01 |
---|---|
미국 인프라, 유틸리티 관련 ETF (XLU, KODEX 미국S&P500 유틸리티, KODEX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2) | 2024.12.16 |
AI SW에 대한 ETF 고민중 (팔란티어. 세일즈포스?) (2) | 2024.12.08 |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 (0) | 2024.12.02 |
[ETF]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9) | 2024.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