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F_국내

중(重)희토류 포함 ETF (미국/한국 상장) - 2 -

by 잍푸 2025. 1. 1.
728x90
반응형

1편에이어 2편에서 한국에 상장된 중희토류 관련 기업이 포함된 ETF를 볼까합니다.

분량 조절에 실패해서, 전 편 보다 짧은 글이 될 것 같습니다.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
한화자산운용의 상품이며, 한국형 REMX 라고 보시면 됩니다.

 

1편에서 REMX 와 SETM 이 중 희토류와 관련된 회사가 포함된 ETF이며,

중국의 비중여부가 차이점이자 투자 방향의 기로라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한화자산윤용의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 은

한국형 REMX라고 보시면 됩니다.

조금 더 자세히 보기전에 TMI (?) 를 말씀드리면,

'PLUS'라는 브랜드가 붙어있는 한국 상장 ETF는 원래 'ARIRANG' 이라는 브랜드였습니다.

그러다 아래와 같이 24년7월23일에 PLUS라는 브랜드로 신규 런칭을 하면서

ARIRANG 이라는 브랜드를 가진 모든 상품명이 변경되었습니다.

그러면서..원래도 길었던 상품명이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 라는 더욱 긴 상품명으로

재탄생(?)이 되었습니다.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 VS REMX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첫번째로 기본적인 사항으로 배당, 수수료 (실비용)을 보면 아래 이미지 처럼 꽤 차이가 있습니다.

(상품명이 너무 길어서 PLUS로 기재)

-연간배당률

PLUS : 없음 | REMX : 2.53%

 

-실비용

PLUS : 1.3253% | REMX : 0.56%

두번째로 구성 종목입니다.

PLUS 를 한국형 REMX라고 말씀드리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실제로 21.79%의 비중으로 REMX를 보유중이고 비중은 조금 다르지만 종목 구성자체도 REMX와 동일하기 때문에

충분히 한국형 REMX라고 부를 수 있을것 같습니다.

세번째로 차트 입니다.

PLUS가 22년 1월초에 상장했음으로 3년간의 주가 추이를 비교해보면 당연히(?) 비슷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최근에는 그 Gap이 많이 좁혀지긴했습니다만

PLSU가 상대적으로 REMX에 비해서는 +1%~10% 정도 더 높게 가격이 형성 되어 왔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수수료 추이 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한화자산운용의 딜레마인 부분이자, 소비자들이 Pain point 이지 않을까합니다.

-실비용

PLUS : 0.6031% → 1.3253% | REMX : 0.56%

개인적으로 PLUS 브랜드는 한국유일의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과 같은 개성있는 상품들이 있지만

수수료 정책이 한국의 트렌드와는 조금 맞지 않아 빛을 못보는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런곳이 많아져야 다양성도 생기고 소비자들도 개성있게 투자를 할 수 있을텐데..

하지만 기업 입장으로 생각하면 충분히 이해는 갑니다.

액티브 & 미치광이인 TIMEFOLIO 의 포지션이 아닌데 수수료는 높게 책정해야 운영이 될텐데,

그럴라면 Volume이 높아져야만 하기에 KODEX, TIGER, ACE의 수수료를 따라하자니 수익성은 맛탱이가 갈것이고,

그렇다면 당연히 약간의 개성을 추가한 상품들을 내놓으면서 서서히 수수료를 올리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일 겁니다..

하지만 수수료를 보면 조금 주저하게 되는건 어쩔 수 없는법!


 

그래서, 중 희토류 관련 기업이 포함된 ETF를 사고싶은데 
한국상장 종목중에서 사야한다면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
단, 중국 기업의 비중이 약 30% 가까이 되는 REMX 임을 염두에 둬야함


 

여기까지 1편에 이어서

중 희토류 관련 기업이 포함된 ETF 중 REMX 와 SETM 중

한국형 REMX인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을 알아봤습니다.

희토류가 여러 사유로 인해 통제를 받아 귀해진다고 해서, 관련 기업들의 수익성에 직결 되지 않을 수 도 있습니다.

정치적이고도 복잡한 셈법이 적용되는 분야가 되어버렸기 때문이죠.

그래도 긴 관점으로 충분한 리스크 관리를 하면서 모니터링 한다면

언젠가 한번쯤 과거의 그래프처럼 한번 더 좋은 결과를 줄 수 도 있지않을까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