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두 글에 이어 본 시리즈(?)의 마지막 글을 써보려 합니다.
맨 처음 글에서는 뭘 더 살지 고민중에 전력, 유틸리티, 인프라, 데이터센터 등등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고
직전글에서는 에너지 관련 ETF에 대해 작성해봤습니다.
에너지 관련 ETF를 알아봤다면, 그 다음 STEP으로 발전, 송전, 배전, 그외 인프라, 데이터 센터 등을
알아봐야 하는게 맞을 것이고
본 글에서 관련 ETF를 소개하고 비교하며 최종적으로 의견을 기재하고자 합니다.
https://dudepooh.tistory.com/144
뭘 사고있었어야 했을까에 대한 고민중.(feat.미장, 국장)
제목이 약간 이상하죠.사고"있었"어야 라는 과거형을 사용해서, 후회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는 중입니다. 언제나 그랬듯 항상 뭔가를 매수하기엔 늦은것 같고 들어가면 왠지 고점매수인것 같
dudepooh.tistory.com
발전, 송배전, 그외 인프라, 데이터센터 등등과 관련된 ETF는 아래 4개 입니다.
XLU, KODEX 미국S&P500 유틸리티, KODEX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해서 아래 4개 ETF에 대한 간략한 정보와 구성종목 (상위 10개)를 아래와 같이 이미지로 추가했습니다.
실비용은 한국상장 ETF 기준으로만 봤을 땐 역시나 조금 비싼 감이 있고 특히 KODEX 계열 ETF는 액티브가 아닌데
조금 비싸지 않나..싶습니다.

그리고 각 ETF들의 구성종목입니다.
가운데 회색선을 기준으로 제 생각엔,
좌측 두개의 ETF는 전통적인 유틸리티와 관련된 ETF
우측 두개의 ETF는 좀더 트렌디 (데이터 센터, 원자력 ...심지어 TIGER는 테슬라까지 넣어둠)한 유틸리티 ETF
라고 판단해서 나눠 뒀습니다.
상세 종목 정보는 아래에 계속 하겠습니다.
워낙 많기도하고..해서 우선 종목을 보고 상세 사업개요를 보시죠

XLU, KODEX 미국S&P500 유틸리티의 상위 10종목에 대한 설명입니다.
대부분 발전, 가스생산, 송전, 배전등 에너지를 공급하고 그에 대한 인프라를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습니다.
1. NextEra Energy, Inc. (NEE) - 12.80%
NextEra Energy는 미국 최대의 전기 유틸리티 기업.
- 사업 개요: 전기 생산, 송전, 배전 서비스 제공
- 포트폴리오:58,200MW의 발전 용량 보유
- 원자력, 천연가스, 석탄,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에너지원 활용
- 250,200마일의 송배전 라인 운영
2. The Southern Company (SO) - 7.76%
Southern Company는 미국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전기와 가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틸리티 기업.
- 사업 개요: 전기 및 천연가스 공급, 발전소 운영
- 포트폴리오:알라바마, 조지아, 미시시피 등 남부 6개 주에서 서비스 제공
- 원자력, 석탄, 수력, 천연가스, 재생에너지 발전소 운영
3. Duke Energy Corporation (DUK) - 7.21%
Duke Energy는 미국 남동부와 중서부 지역에서 전기와 천연가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유틸리티 기업.
- 사업 개요: 전기 및 천연가스 생산, 송전, 배전
- 포트폴리오: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오하이오 등 6개 주에서 서비스 제공
- 원자력, 석탄, 천연가스, 수력, 태양광 발전소 운영
4. Constellation Energy Corporation (CEG) - 6.11%
Constellation Energy는 탄소 배출이 없는 에너지 생산 및 공급 기업.
- 사업 개요: 탄소 중립 에너지 생산 및 공급, 에너지 관련 제품 및 서비스 제공
- 포트폴리오:약 41,000MW의 발전 용량 보유
- 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광 등 청정 에너지원 중심
- 미국 내 탄소 중립 에너지의 약 10% 생산
5. Sempra (SRE) - 4.71%
Sempra는 캘리포니아와 텍사스를 중심으로 에너지 인프라를 운영하는 기업.
- 사업 개요: 전기 및 천연가스 공급, 에너지 인프라 운영
- 포트폴리오:San Diego Gas & Electric, Southern California Gas Company 등 자회사 운영
- LNG 터미널,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등 에너지 인프라 보유
6. American Electric Power Company, Inc. (AEP) - 4.25%
American Electric Power는 미국 중부와 남부 지역에서 전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유틸리티 기업.
- 사업 개요: 전기 생산, 송전, 배전
- 포트폴리오:약 29,000MW의 발전 용량 보유
- 11개 주에서 전기 서비스 제공
-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 수력,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에너지원 활용
7. Vistra Corp. (VST) - 4.09%
Vistra는 텍사스 주를 중심으로 전기 생산 및 소매 판매를 하는 종합 에너지 기업.
- 사업 개요: 전기 생산, 소매 전기 공급, 에너지 저장 솔루션 제공
- 포트폴리오:약 41,000MW의 발전 용량 보유
- 천연가스, 원자력, 석탄, 태양광, 배터리 저장 시설 운영
- 약 500만 소매 고객 보유
8. Dominion Energy Inc. (D) - 3.88%
Dominion Energy는 미국 동부와 중서부 지역에서 전기와 천연가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틸리티 기업.
- 사업 개요: 전기 및 천연가스 생산, 송전, 배전
- 포트폴리오:약 27,000MW의 발전 용량 보유
- 버지니아,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등에서 전기 서비스 제공
- 유타, 와이오밍 등에서 천연가스 서비스 제공
9. PG&E Corporation (PCG) - 3.65%
PG&E는 캘리포니아 북부와 중부 지역에서 전기와 천연가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틸리티 기업.
- 사업 개요: 전기 및 천연가스 송전, 배전
- 포트폴리오:약 520만 가구에 전기 및 천연가스 공급
- 70,000마일 이상의 전기 송배전 라인 운영
- 42,000마일 이상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운영
10. Public Service Enterprise Group Incorporated (PEG) - 3.62%
Public Service Enterprise Group은 뉴저지 주를 중심으로 전기와 천연가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에너지 기업.
- 사업 개요: 전기 및 천연가스 생산, 송전, 배전
- 포트폴리오:원자력, 화석연료, 재생에너지 발전소 운영
- 뉴저지 주와 주변 지역에서 전기 및 천연가스 서비스 제공
- 에너지 효율 프로그램 및 수요 반응 서비스 제공
KODEX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와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의 상위 10개 종목에 대한 설명입니다.
XLU와는 다르게, 최신의 트렌드와 서버용 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그 둘만의 차이점은 또 존재합니다.
KODEX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1.GE Vernova LLC (GEV) - 16.25%
- 사업 개요: 전력 생산, 송전, 배전 및 재생에너지 솔루션 제공
- 포트폴리오: 가스 터빈, 풍력 터빈, 그리드 솔루션, 전력 변환 시스템
2.Arista Networks (ANET) - 12.36%
- 사업 개요: 클라우드 네트워킹 솔루션 제공 기업
- 포트폴리오: 데이터 센터용 고성능 스위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솔루션
3.Constellation Energy (CEG) - 11.75%
- 사업 개요: 미국 최대 원자력 발전 기업, 청정 에너지 생산 주력
- 포트폴리오: 원자력,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청정 에너지원
4.Vistra Corp (VST) - 11.72%
- 사업 개요: 텍사스 주 중심의 종합 전력 회사
- 포트폴리오: 발전, 소매 전기 공급, 에너지 저장 솔루션
5.Eaton Corporation (ETN) - 10.62%
- 사업 개요: 전력 관리 솔루션 제공 글로벌 기업
- 포트폴리오: 송전·배전 시스템, 전기 제품, 산업 및 차량용 전력 관리 솔루션
6.Trane Technologies (TT) - 10.55%
- 사업 개요: 건물용 냉난방 및 운송 온도 조절 시스템 제공 기업
- 포트폴리오: HVAC 시스템, 에너지 서비스, 빌딩 자동화 솔루션
7.Vertiv Holdings Co (VRT) - 8.35%
- 사업 개요: 데이터 센터용 전력, 냉각, IT 인프라 솔루션 제공 기업
- 포트폴리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열관리 시스템,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8.EMCOR Group Inc (EME) - 8.28%
- 사업 개요: 기계 및 전기 건설 서비스 제공 기업
- 포트폴리오: 전기 시스템, HVAC, 소방 시스템, 산업 및 에너지 인프라 서비스
9.Quanta Services Inc (PWR) - 6.66%
- 사업 개요: 전력, 통신, 파이프라인 인프라 구축 및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 기업
- 포트폴리오: 송전선 설치, 변전소 건설,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서비스
10.NuScale Power Corporation (SMR) - 3.21%
- 사업 개요: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개발 기업
- 포트폴리오: SMR 설계, 개발, 배치 솔루션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
1.GE Vernova LLC (GEV) - 12.29%
- 사업 개요: 전력 생산, 송전, 배전 및 재생에너지 솔루션 제공
- 포트폴리오: 가스 터빈, 풍력 터빈, 그리드 솔루션, 전력 변환 시스템
2.Vertiv Holdings Co (VRT) - 8.5%
- 사업 개요: 데이터 센터용 전력, 냉각, IT 인프라 솔루션 제공 기업
- 포트폴리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열관리 시스템,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3.Tesla Inc (TSLA) - 5.01%
- 사업 개요: 전기자동차 및 청정에너지 기업
- 포트폴리오: 전기자동차, 태양광 패널, 에너지 저장 시스템
4. Siemens Energy AG - 4.87%
- 사업 개요: 에너지 기술 및 서비스 제공 기업
- 포트폴리오: 가스 터빈, 풍력 발전, 송전 시스템, 에너지 관리 솔루션
5. Eaton Corporation (ETN) - 4.85%
- 사업 개요: 전력 관리 솔루션 제공 글로벌 기업
- 포트폴리오: 송전·배전 시스템, 전기 제품, 산업 및 차량용 전력 관리 솔루션
6.Bloom Energy (BE) - 4.82%
- 사업 개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기술 기업
- 포트폴리오: 분산형 발전 시스템, 수소 생산 솔루션
7.Arista Networks (ANET) - 4.63%
- 사업 개요: 클라우드 네트워킹 솔루션 제공 기업
- 포트폴리오: 데이터 센터용 고성능 스위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솔루션
8.Cameco Corporation (CCJ) - 4.55%
- 사업 개요: 세계 최대 우라늄 생산 기업 중 하나
- 포트폴리오: 우라늄 채굴, 정제, 연료 제조
9. Marvell Technology (MRVL) - 4.39%
- 사업 개요: 반도체 설계 및 생산 기업
- 포트폴리오: 데이터 인프라 솔루션,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칩
10. Constellation Energy (CEG) - 4.25%
- 사업 개요: 미국 최대 원자력 발전 기업, 청정 에너지 생산 주력
- 포트폴리오: 원자력,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청정 에너지원
음..뭔가 비슷한데 다른것 같으니, 아래와 같이 유사점 VS 차이점을 비교해 본다면,
유사점
- 세 ETF 모두 전력 및 유틸리티 관련 기업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발전, 송전, 배전과 관련된 기업들이 주요 구성 종목입니다.
차이점
XLU (Utilities Select Sector SPDR Fund) : 안정적인 유틸리티 섹터 전반의 성과를 추구하는 관점
- 목적: 미국 유틸리티 섹터의 전반적인 성과를 추적
- 특징: 전통적인 유틸리티 기업들에 중점을 둠
- 구성: 주로 전기, 가스, 수도 등 기존 유틸리티 기업들로 구성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기업들의 성장에 초점을 두는 관점
- 목적: AI 발전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기업들에 투자
- 특징: 전력 인프라와 AI 관련성에 초점
- 구성: 전력 기업뿐만 아니라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 솔루션 기업들도 포함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 AI 인프라 전반의 밸류체인에 포괄 적으로 투자하는 관점
- 목적: AI 인프라 전반의 밸류체인에 투자
- 특징: 데이터센터, 전력, 원자재 등 3가지 테마에 걸쳐 투자
- 구성: 전력 기업 외에도 구리, 우라늄 등 원자재 관련 기업, AI 데이터센터 기업들을 포함
단,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는 특히 원자재 비중을 높이고 구리 관련 기업에도 투자하는 등 더 넓은 범위의 AI 인프라 관련 기업들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위 10개 종목으로만 보면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와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가 안겹치는 부분이 있는것 같지만,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는 상위 10개 종목의 비중이 58.16%이고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가 99%를 넘어가기 때문에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의 하위 비중 종목까지 보면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를 거의 포함한다고 보면 됩니다.
아래처럼 붉은색 BOX는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에도 있는 종목이나, 비중이 상위 10개 이내에 못들었을 뿐인 종목들 입니다.

ㄱ..그래서 뭘 사요? 라고 물으신다면,,
KODEX 미국S&P500유틸리티, KODEX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중,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이유는 이렇습니다.
1. 처음으로 돌아가서, 실비용을 보면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가 말그래도 액티브임에도 그나마 저렴한 편입니다.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는 액티브가 아님에도 실비용 0.8406%로 높습니다.

2. 이 ETF들을 들여다 보게된 출발점이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를 바라봤을때 단순히 발전 → 송배전으로의 인프라가 아닌
더 많은 발전, AI 데이터 센터, 코인 그리고 그에 대한 인프라 였습니다.
따라서 전통적인 유틸리티에 투자하는 XLU 보다,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둘중 하나를 선택하는게 괜찮아 보입니다.
3. TIGER 가 KODEX의 거의 모든 종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4. 마지막으로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가 상장시점을 포함한 1년치 그래프로 KODEX와 비교했을때,
항상 수익률이 좋았었습니다. 역시 액티브인가

사실 저는 상승률이나 NAV 등등을 비교해보려고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둘다 동일 시점에 매수를 했었는데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가 조금 더 괜찮다고 생각중입니다.
해서 슬슬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를 정리할지 고민중이고, 보유 비중에 대해서도 고민중입니다.
글 읽어 주신 분들께서도 제 의견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ETF_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단기 국채 매매 및 관련 ETF (SGOV, SHV,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ACE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IBTF) (0) | 2025.01.14 |
---|---|
중(重)희토류 포함 ETF (미국/한국 상장) - 2 - (1) | 2025.01.01 |
미국 에너지 산업 관련 ETF (XLE, KOSEF미국원유에너지기업, KODEX미국S&P에너지(합성),KoAct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 (3) | 2024.12.15 |
AI SW에 대한 ETF 고민중 (팔란티어. 세일즈포스?) (2) | 2024.12.08 |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 (0) | 2024.12.02 |
댓글